콘텐츠바로가기

뉴스인사이드

모차르트에 오롯이 빠져든 시간…'주피터'로 화려한 대미

글자작게 글자크게 인쇄 목록으로

랄프 고토니와 KCO가 함께한
‘모차르트 교향곡 46 전곡 연주’
8일 롯데콘서트홀 피날레 무대

초기~원숙기 모차르트 음악세계
투명하고 정교한 앙상블로 보여줘


호른의 힘찬 ‘도~레~파~미~’(C장조 기준)를 시작으로 여러 악기가 돌아가며 이 유명한 ‘네 음 모티브’를 흥겹게 반복하더니 곧장 코다(종결부)로 진입합니다. 무대 위 약 40명의 연주자들은 하나 된 몸짓과 하나 된 마음으로 짧지만 강렬한 총주(투티)를 뿜어냅니다. 마침내 지휘자 랄프 고토니의 두 손이 허공에 멈췄고, 잠시 후 ‘브라보~’와 박수갈채가 무대를 향해 쏟아졌습니다.

지난 8일 서울 롯데콘서트홀에서 열린 코리안챔버오케스트라(KCO)의 ‘모차르트 교향곡 46 전곡 연주’ 시리즈 피날레 공연 현장입니다. 국내 최초로 모차르트의 교향곡 전곡을 연주하는 시리즈 공연에 관심을 둔 음악애호가라면 누구나 예상하고 기대했을 법합니다. 시리즈의 대미를 교향곡 41번 ‘주피터’, 이중 ‘기악 최고의 승리‘라는 4악장의 환희에 찬 C장조 푸가로 화려하게 장식할 것이라고 말이죠.

이런 기대를 100% 충족시키는 피날레였습니다. 고토니와 김민 음악감독 겸 악장을 비롯한 KCO 연주자들은 그동안 10회의 시리즈를 함께하며 갈고닦은 호흡으로 정교하고 밀도 높은 앙상블을 빚어냈습니다. 커튼콜이 길게 이어졌습니다. 고토니는 김민 등 연주자들과 인사하고, 관악주자들을 소개하고, 41번 ’주피터‘ 악보를 들어보이며 박수를 보내는 등 대장정을 끝낸 감회를 무대에서 표출했습니다. 이렇게 2019년 12월 28일 모차르트가 아홉 살에 작곡한 1번 연주로 시작한 시리즈는 마지막 교향곡인 41번 연주로 4년 2개월여만에 마무리됐습니다.

이번 시리즈는 한국 클래식 음악 연주사에 한 획을 긋는 공연으로 평가될 듯싶습니다. 시리즈에 붙은 ’46‘이란 숫자가 눈길을 끕니다. 모차르트가 과연 몇 편의 교향곡을 썼는지에 대해서는 학자 간 주장이 다릅니다. 김민 음악감독에 따르면 모차르트는 총 60여 편을 작곡한 것으로 추정되는데 이 중 46편이 전 악장 악보로 나와 있다고 합니다. KCO는 이 46편을 ’전곡‘으로 정하고, 열 차례의 공연을 통해 모두 연주하는 시리즈를 기획했습니다. 각 회는 네다섯 편의 교향곡과 협주곡 한 편으로 프로그램을 구성했습니다.

저는 이 중 절반의 공연을 관람했습니다. 매회 공연 프로그래밍은 크게 다르지 않았습니다. 평소 음반이나 연주회장에서 들을 수 없었던 초중기 교향곡과 상대적으로 잘 알려진 교향곡과 협주곡을 고루 배치했습니다. 시리즈 중 한 회만 들어도 모차르트의 음악이 초기부터 원숙기까지 어떻게 발전해 갔는지 윤곽을 잡을 수 있도록 하고, 생소한 곡과 익숙한 곡을 섞어 관객이 지루하지 않게끔 말이죠.

마지막 10회 공연도 그랬습니다. 교향곡 10·20·30·41번과 그 중간에 조재혁 협연으로 피아노 협주곡 23번이 연주됐습니다. 이 중 10·20·30번은 처음 들었습니다. 이뿐만 아니라 유명한 25번이나 ’하프너‘’린츠‘’프라하‘ 등 30번대 교향곡, 후기 3대 걸작 39, 40, 41번 정도를 뺀 교향곡들은 이번 시리즈 공연에서 처음 들어봤습니다. 생소한 곡들엔 새로운 모차르트를 만나는 호기심으로 귀를 쫑긋하게 하고, 익숙한 곡들엔 반가운 마음에 더 집중하게 하는 게 이번 공연 프로그램의 포인트가 아니었을까 싶습니다.


베토벤 전까지 교향곡이란 장르의 성장사를 엿보는 재미도 톡톡했습니다. 모차르트가 14세에 작곡한 10번은 관악 파트가 호른 두 대, 오보에 두 대뿐이고, 연주 길이가 8분 남짓합니다. 프로그램북에는 3악장으로 나와 있지만 1악장 알레그로와 2악장 안단테가 한 악장처럼 연결돼 2악장 곡으로 봐도 될 것 같습니다. 1악장 첫 주제 ‘도레미파솔~,솔파미레도~’가 소년 모차르트를 떠오르게 합니다. 꽉 짜인 2관 편성 이상의 4악장 교향곡에 익숙하다면 ’이거 교향곡 맞아?’라는 생각이 들 법합니다.

2년 뒤 16세에 작곡한 20번은 확 달라집니다. 호른과 오보에에 플루트 한 대와 트럼펫 두 대가 추가돼 관악 사운드가 풍성해졌습니다. 3악장 미뉴에트가 있는 4악장 교향곡의 구조와 짜임새를 갖췄습니다. 연주 시간도 17분 정도 됩니다. 활달하고 자신감 넘치지만 아직은 덜 성숙한 청년 모차르트의 면모를 느낄 수 있는 곡이었습니다. 다시 2년 뒤인 18세에 작곡한 30번은 편성이나 분위기, 짜임새 등이 20번과 비슷합니다. 작곡 시기에서 오는 선입견이 작용해서인지 조금 더 짜임새 있고 여문 느낌이 들었습니다. 실험적이고 반항적인 색채도 엿보였습니다.

피아노 협주곡 23번과 교향곡 41번 ‘주피터’는 더 이상 설명이 필요 없는, 모차르트의 최고 걸작들로 꼽히는 작품들입니다. 30대 모차르트의 원숙하면서도 천재적인 기량과 음악성을 듬뿍 감상할 수 있는 곡들입니다. 피아니스트 조재혁은 협주곡 23번을 모차르트 작품답게 맑고 투명한 음색과 한 음표도 놓치지 않는 또랑또랑한 터치로 들려줬습니다. 그 유명한 2악장 f# 단조 아다지오에서도 감정의 과장 없이 선율에 어린 슬픔의 정조를 담담하게 표현했습니다. 플루트와 이번 공연 중 관악 파트에 유일하게 등장하는 클라리넷도 피아노와 담백하게 어우러졌습니다. 이번 마지막 공연도 이전 시리즈 공연 못지않게 어린 모차르트부터 성숙한 모차르트까지 모차르트 음악에 오롯이 빠져들게 하는 시간이었습니다.

원래 만 1년으로 기획한 모차르트 여정을 코로나19란 장애물을 이겨내며 4년여만에 마친 ‘KCO의 다음은 무엇인가요?’ 랄프 고토니는 이번 프로그램북 인사말에서 이렇게 묻고는 개인적인 바람이 섞인 듯한 답까지 내놨습니다. ‘나는 슈베르트의 목소리가 들리는 것 같은데요?’
저도 공연장을 떠나며 KCO의 다음에 이런 시리즈가 아니라면 접할 기회가 없을 듯한 슈베르트의 초중기 교향곡들을 듣고 싶다는 바람을 품어봤습니다.
송태형 문화선임기자

송태형 문화선임기자 toughlb@hankyung.com

오늘의 신문 - 2024.11.21(목)